모래위키
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고립된 분류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216.73.216.148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로그인
모래위키
:수도권 광역급행철도
(편집 요청)
[알림]
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.
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. 로그인된 사용자(이)여야 합니다. 해당 문서의
ACL 탭
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닫기
RAW 편집
미리보기
== 운행 속도 == A선은 3문형 EMU-180 차량을 발주했다. 즉, 통근형 [[ITX-청춘]]. 철도차량의 경우 롱시트를 이용하여 지정좌석제도는 실시하지 않는다. 표정속도는 A선은 105km/h 정도로 비슷한 역할을 하는 츠쿠바 익스프레스, JR의 각종 쾌속, 케이큐 쾌특, RER, 크로스레일 등 타 광역급행철도에 비하면 엄청 빠르나[* 이는 일반열차는 물론 '''KTX''' 노선과도 충분히 비교할 수 있는 수준이며, 심지어 일부 기존선 경유 KTX의 표정속도를 능가하기도 한다.] B선, C선은 94km/h, 91.7km/h로 비교적 낮다.[* 어디까지나 A선이 '''최고속도가 180km/h를 넘을 정도로''' 너무 빨라서 상대적으로 낮아보이는 것 뿐, B노선과 C노선의 표정속도도 결코 낮은건 아니다.] 이것은 A선이 수서역 이남에서 [[대한민국의 고속철도|고속철도]]인 [[수서평택고속선]]을 [[SRT]]와 공유하고, [[수서역]] 이북도 영업최고속도가 180km/h인지라 열차 최대속도인 180km/h를 낼 수 있기 때문이다.[* 다만, [[수서역]] 이남은 고속선 구간이라 [[TVM430]] 신호시스템 때문에 170km/h로 속도제한이 걸린다.] B선과 C선은 시내 전용구간을 제외하면 각각 도시철도/[[간선철도]]인 [[경춘선]], [[경원선]]과 [[과천선]], [[안산선]], [[경부선]]을 공유하여 급행운전하므로 기존 구간에서 최대속도를 내기 어렵다. 그나마 B선의 경춘선과 중앙선은 준고속화[* 선로설계속도는 다음과 같다. 경춘선 망우~춘천 150~180km/h, 중앙선 망우~덕소 150km/h, 덕소이남 230km/h.]가 되어있고 상봉만 넘어가면 상대적으로 운행편수도 적어서 그나마 크게 손해볼 게 없어 괜찮지만 C선은 답도 없다(...).[* 선로설계속도는 다음과 같다. 과천선, 안산선 120km/h, 경부선 금정~수원 130km/h(일부 90~110km/h 제한), 경원선 도봉산~의정부 90km/h, 의정부~동두천 150km/h. 게다가 과천선과 경부선, 안산선은 기존열차 운행량이 매우 많고 경원선도 중앙선과 비등하거나 조금 더 많은 편이다.]
요약
문서 편집을
저장
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
CC BY-NC-SA 2.0 KR
으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. 이
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216.73.216.148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216.73.216.148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최근 토론
[불러오는 중...]